회사직급순번팀장계장책임

안녕하세요 창작으로 힐링이 되는 그림나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사회초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입니다.
바로 회사 직급 순서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회초년생 말고도 저처럼 프리랜서로 일하는 사람들에게는 종종 이 순서가 헷갈릴 때가 있거든요.이번에 정리하면서 확실히 알아두겠습니다.

© lics, 출처 Unsplash

사원→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부회장→회장

일반적인 기업의 회사 직급 순서는 이렇습니다.
지금은 인턴제도가 있어서 인턴으로 시작해서 그 회사의 정규직인 사원으로 취직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부장 직급까지 사무원으로 구분되며 이사부터는 임원진으로 분류됩니다.

윗 순서대로 계장이 안보이네요?그럼 회사 직급 순번계장 위치는 얼마나 될까요?

주임보다 높고 대리보다 낮다.
주임과 대리 사이의 직급이래요.

© StartupStock Photos, 출처 Pixabay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게 있어요.우리가 드라마나 영화 같은 걸 보면 팀장님!
이라고 부르는 장면들이 많이 나와요.하지만 위 순서에는 팀장이라는 직책이 없습니다.

그 이유는 직급, 직급의 차이에 있습니다.

직위는 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위치입니다.
위 회사 직급 순서대로 알려드린게 정확히 직급입니다.
회사 내 직원 서열이라고 생각해도 되겠네요.

직급은 직무등급입니다.
업무의 난이도와 책임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보통 공기업, 군인, 경찰 등에서 많이 쓰입니다.

© StartupStock Photos, 출처 Pixabay

직책이란 직무상의 책임을 말합니다.
책임과 권한에 따라 주어지는 명칭입니다.
즉 CEO, 영업본부장, 실장, 팀장 같은 거예요.TV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직책의 경우는 책임과 권한에 따라 매겨지는 것으로 직위와 별도로 존재합니다.
즉 직위가 올라가도 직책은 그대로일 수 있습니다.

팀장의 경우 대리-차장급 사이의 직급이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같은 팀장 직책이라도 직급에서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사무기업 외에 생산직 공장 같은 경우는 순서가 이렇게 되는데

사원 →조장 →반장 →직장 →공장장으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으며 공장장이 가장 높은 직위입니다.

© StartupStock Photos, 출처 Pixabay

연구소의경우직급순서는이렇게요.연구원→선임연구원→책임연구원→수석연구원과 구별됩니다.

저도 이번에 정리하면서 좀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시간이 됐어요.앞으로 사회생활을 준비하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