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이 1392년 개국하고 1910년 경술국치에 몰락할 때까지 519년 동안 27명의 왕이 나라를 다스렸다.
제위 기간이 평균 19.2년인 셈이지만 별 의미는 없다.
제위 기간이 가장 긴 왕은 제21대 영조로 무려 52년간(1724~1776) 왕을 지냈다.
반대로 제위기간이 가장 짧은 왕은 12대 인종으로 8개월밖에 되지 않는다.
몸이 약하고 계모인 문정왕후에게 시달려 단명했다.
왕위에서 쫓겨난(전문용어로 ‘폐위’된) 왕은 두 명이다.
10대 연산군이 후궁 출신의 생모 윤씨 복위 중 폐위되었고, 15대 광해군은 붕당 정치에서 희생되어 폐위되었다.
아버지를 이어 즉위한 왕은 14명이다.
왕별로 간략하게 주요 사항을 정리하였다.
1대 태조(6년, 1392~1398) : 이성계

(태조어진. 출처=「조선왕실의 어진전」국립고궁박물관) 2대 정종(2년, 1398~1400): 태조의 둘째 아들. 1차 왕자의 난 (이방원이 정도전을 제거)
3대 태종(18년, 1400~1418): 이방원, 태조의 5남. 제2차 왕자의 난(1400). 왕권 강화. 신문고 설치(1401). 의정부 및 의금부(중죄인 심문) 설치.
4대 세종(32년, 1418~1450): 태종의 셋째 아들. 훈민정음 창제 조선의 황금시대
5대 문종(2년, 1450~1452) : 세종의 장남. 몸이 약해서 병사
6대 단종(3년, 1452~1455) : 문종의 아들. 계유정란(1453수양대군 김정서 등 살해). 수양대군(삼촌)이 왕위 찬탈. 사육신들이 허리둘레 운동
7대 세조(13년, 1455~1468) : 세종의 둘째 아들(수양대군). 유향소(지방품관 자치기구) 폐지, 직전법 실시(1466현직 관리에게만 토지 지급). 경국 대전 편찬 착수
8대 예종(1년, 1468~1469) : 세조의 둘째 아들. 부인은 한명회의 딸. 급사.
9대 성종(25년, 1469~1494) : 세조의 장남(의경세자, 20세의 나이로 요절)의 차남.13세에 즉위. 한명회의 딸과 혼인. 경국 대전 완성
10대 연산군(12년, 1494~1506) : 성종의 장남. 생모 윤씨(후궁)의 서거와 관련해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와 대립. 민간원 폐지 무오사화(1498.흥구파가 신진대사 공격). 갑자사화(1504. 연산군이 윤씨 복위 반대 선비 처형). 신문고 폐지 중종반의로 폐위
11대 중종(38년, 1506~1544) : 성종의 둘째 아들(이복동생). 연산군의 폐정개혁조광조등용삼포왜란(1510.삼포거주왜인의반란)발생. 비변사 설치(1517. 국가비상문무합의기구). 기묘사화(1519, 훈구파가 조광조 등 신진사류 숙청).
12대 인종(8개월, 1544~1545): 중종의 장남. 조광조 신원회복을 꾀하다.
문정왕후(계모)에게 시달리는 병약하고 단명(계모의 독살설).
13대 명종(22년, 1545~1567): 중종의 둘째 아들(이복동생). 문정왕후(어머니) 수렴청정. 을사사화(1545소윤이 태윤 숙청). 후사 없이 사망.
14대 선조(41년, 1567~1608) : 중종의 손자. 16세에 즉위. 훈구파 징벌 이황·이등용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1575. 집의 위치에 따라).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1591. 서인의 보복 차이로). 임진왜란. 훈련도감 설치(1593, 수도수비군). 정유재란(1597).
15대 광해군(15년 1608~1623): 선조의 둘째 아들. 북인(대북) 장악 영창대군과 임해군 제거, 인목대비 유폐. 대동법 경기도 실시(1608). 붕당 정치에서 희생 서인의 인조 반납으로 폐위
16대 인조(26년, 1623~1649): 선조의 손자. 서인 세력총융자청 신설(1624. 경기 일대 경비). 수어청 신설(1626. 남한산성 수비). 반김친명정책, 정묘호란(1627. 후금의 침입) 및 병자호란(1636)으로 삼전도 굴욕. 상평통보 주조(1633)
17대 효종(10년, 1649~1659): 인조의 둘째 아들. 청나라에 8년간 인질생활 북벌정책
18대 현종(15년, 1659~1674) : 효종의 아들. 1차 예송 논쟁(1659. 궁중의례 적용 문제→서인 승리), 2차 예송 논쟁(1674. 남인 승리). 질병과 기근의 지속 대동법 확대
19대 숙종(46년, 1674~1720): 현종의 아들. 14세에 즉위. 남인 장악. 어머니는 장희빈(궁녀 출신). 상평신고 재주조(1678). 경신환국(1680. 서인이 남인 추방).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남자의 처벌 차이로). 국방강화, 김위영 설치(1682. 한성수비기병). 기사환국(1689. 남인이 서인 추방). 갑술환국(1694. 서인이 남인 추방). 대동법 전국 실시(평안·함경 제외).
20대 경종(4년, 1720~1724년) : 숙종과 장희빈의 아들. 아이가 없어서 병약하다.
소론이 정권 장악
21대 영조(52년, 1724~1776): 숙종의 둘째 아들. 노론득, 탕평책 실시(붕당 대립 완화, 왕권 강화). 균역법 시행(1751. 군역 부담 경감). 신문고 부활(1771). 청계천 준설

(영조어진. 출처=「조선왕실의 어진전」국립고궁박물관) 22대 정조(24년, 1776~1800): 영조의 손자(사도세자의 아들). 규장각(1776. 임금자 등 보관) 설치. 노론이 시파와 벽파로 분화(사도세자 문제로). 개혁/탕평정책 및 공공정책 추진.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기. 화성 축조(1796).
23대 순조(34년, 1800~1834년) : 정조의 둘째 아들, 11세의 나이로 즉위. 안동 김씨 판도 정치 홍경래의 난(1811. 평안도 농민항쟁)
24대 헌종(15년, 1834~1849): 순조의 손자.8세에 즉위. 풍요 조씨의 판도정치 오거작통법 시행(천주교 박해)
25대 철종(14년, 1849~1863) : 정조의 동생의 차남. 안동 김씨 판도 정치 삼정혼란의 극심, 환정)의 난극심. 동학 사상 전파 후사 없음
26대 고종(44년, 1863~1907) : 12세의 나이로 즉위. 대원군(아버지)과 명성황후(부인)의 대립. 비변사 폐지(1865). 열강의 내정간섭 당백전 주조(1866). 병인양요(1866. 천주교 탄압으로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 침범). 신미양요(1871. 미 군함의 강화도 해협 침범). 운요호 사건(1875. 일본 군함의 강화도 앞바다 침범). 임오군란(1882. 구식 군대의 차별 불만 반란). 갑신정변(1884. 개화당이 민씨 일파 추방). 동학농민운동(1894). 대한제국 초대 황제 홍범 14조 선포 아관파천(1896). 을사늑약 (1905). 통감부 설치(1906).

(고종어진. 출처=’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국립고궁박물관) 27대 순종(3년, 1907~1910): 고종의 둘째 아들.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1908. 대한제국 토지·자원 수탈). 경술국치(1910년 8월 29일). 조선왕조 519년 만에 몰락
(순종의 초상사진 출처=”조선왕실의 진진과 진전” 국립고궁박물관)